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

하나님의 교회 지식사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파스카 논쟁(Paschal controversies) 또는 유월절 논쟁은 2-4세기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간에 성찬식 날짜에 대한 엇갈린 주장으로 촉발된 논쟁을 말한다. 헬라어 파스카(πασχα)는 히브리어 페사흐(פֶּסַח)를 헬라어식으로 음차한 단어로, 페사흐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해방되던 날, 곧 유월절을 의미한다. 세 차례의 논쟁 끝에 성경의 유월절, 즉 성력 1월 14일에 성찬식을 행하는 규례는 폐지되고,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에 성찬식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신학자들은 파스카 논쟁을 '부활절 날짜에 대한 논쟁'으로 정의하고 부활절 논쟁(復活節論爭)이라 부른다.[1] 그러나 이는 파스카 논쟁에서 승리한 서방 교회의 주장대로 교회사가 기록되었기 때문으로,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2]

파스카 논쟁의 원인

초대교회는 '고난을 받기 전에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3] 하신 예수님의 뜻에 따라 성력 1월 14일 저녁에 유월절(πασχα, Pascha, 파스카) 성찬식을 행했다.[4] 이날 초대교회는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며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했다.[5][6] 유월절 다음 날인 15일에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을 기념하는 무교절을 지켰고, 이후 돌아오는 첫 일요일에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부활절을 지켰다.
사도들이 세상을 떠난 이후 초대교회는 소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방 교회와 로마를 중심으로 한 서방 교회로 나뉘게 된다. 동방 교회는 사도들이 전해준 가르침대로 예수님께서 고난받기 전날인 성력 1월 14일에 유월절 성찬식을 행했다. 그러나 로마교회(서방 교회)는 그리스도의 본을 버리고 예수님께서 십자가 고난을 당한 후 부활하신 일요일에 성찬식을 행했다.

교회사를 보면 논쟁의 발단이 성찬식 날짜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서방 교회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아시아에서 본 가장 중요한 날짜는 닛산(Nisan) 14일이었는데 ... 그리고 감사의 성찬식(Eucharist)을 거행하던 습관을 가졌었다. 그러나 서방 교회에서는 닛산 14일 다음의 일요일까지 금식을 계속하고 그리고 유월절 성찬식을 거행하였는데, 이는 그 주간 이날 일요일에 주께서 부활하셨다는 주장에서 왔다.
— 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1쪽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하는 성찬식을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부활절에 하는 것은 비성경적이다. 로마교회가 성경의 유월절 날이 아닌, 부활절에 성찬식을 해야 한다고 고집하면서 교회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구분 유월절 성찬식 날짜
성경 성력 1월 14일 저녁
동방 교회 성력 1월 14일 저녁
서방 교회 유월절 이후에 맞이하는 일요일(부활절)

제1차 파스카 논쟁

폴리카르포스
폴리카르포스

155년경 서머나교회(동방 교회)의 감독 폴리카르포스(Polycarpos, 폴리캅)와 로마교회의 감독 아니케투스(Anicetus) 사이에 벌어진 유월절 날짜 논쟁이다.[7] 로마를 방문한 폴리카르포스는 아니케투스에게 자신은 '예수님의 제자인 요한 그리고 여러 사도들과 함께 매년 유월절을 지켜왔다'며 예수와 사도들의 전승대로 니산월(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아니케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두 사람은 서로를 설복시킬 수 없어 각자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기로 했다.[8][9]

제2차 파스카 논쟁

빅토르 1세
빅토르 1세

197년경 로마교회 감독 빅토르(Victor Ⅰ, 빅토르 1세)가 모든 교회에 일요일에 성찬식을 하는 이른바 '도미닉의 규칙(주의 규칙)'[10]을 강요하면서 다시 발생했다.[11] 서방 교회들은 빅토르의 주장을 받아들였지만 동방 교회들은 반발했다. 에베소교회(동방 교회)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소아시아 지역에서 행하는 유월절 성찬식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12] 그는 소아시아 교회들을 지도했던 사도 빌립, 사도 요한 그리고 여러 순교자들이 복음에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켰음을 말하고, 8대 감독인 자신도 전승을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키고 있다며, 성경적인 유월절 날짜를 지켜야 함을 강한 논조로 설명했다.

We observe the exact day; neither adding, nor taking away. For in Asia also great lights have fallen asleep, which shall rise again on the day of the Lord’s coming, when he shall come with glory from heaven, and shall seek out all the saints. Among these are Philip, one of the twelve apostles, ... John, who was both a witness and a teacher, who reclined upon the bosom of the Lord, and, being a priest, wore the sacerdotal plate. He fell asleep at Ephesus. And Polycarp in Smyrna, ... All these observed the fourteenth day of the passover according to the Gospel, deviating in no respect, but following the rule of faith. And I also, Polycrates, the least of you all, do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my relatives, some of whom I have closely followed. For seven of my relatives were bishops; and I am the eighth. And my relatives always observed the day when the people put away the leaven [Passover].

우리는 바르게 절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 아무것도 덧붙이거나 감하지 않았습니다. 아시아에는 위대한 인물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 열두 사도의 한 사람인 빌립과 ... 교사였고 순교자였던 요한도 에베소에 묻혀 있습니다. ... 이 사람들은 모두 조금도 빗나가지 않고 신앙의 규칙을 따르면서 복음에 따라 14일을 유월절로 지켰습니다. 그리고 나 폴리크라테스는 비록 당신들 중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에 불과하지만 내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일곱 명의 전임 감독들이 있고, 나는 8대 감독입니다. 전임 감독들은 항상 백성들이(유대인) 누룩을 없앤 날[유월절]을 지켜왔습니다.[13]

— Philip Schaff et al., "Church History of Eusebius(Book V),"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Volume I,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90

서신을 받은 빅토르는 아시아의 교회들을 비정통으로 간주하고 즉시 파문을 통보했다. 그러나 이는 모든 교회의 일치된 의견은 아니었으므로 그는 일부 감독들의 중재를 받아들여 파문을 취소했다.

제3차 파스카 논쟁

파스카 논쟁의 종결은 뜻밖에도 교회 지도자가 아닌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이루어졌다.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니케아 공의회는 니케아에 위치한 황제의 별궁에서 열렸으며, 파스카 논쟁과 아리우스 논쟁이라는 교리 논쟁의 종식을 주요 의제로 다루었다. 약 2개월간 회의 끝에 서방 교회의 주장대로 성찬식을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에 하는 것으로 결의했다. 성경적 유월절이 폐지된 것이다. 부활절 날짜도 성경대로 하지 않고 '춘분 후 만월(보름날) 다음에 오는 첫 번째 일요일'로 정했다.[14] '십사일파(라틴어로 Quārtadecimānī[콰르타데키마니])'라고 불린, 1월 14일 유월절 성찬식 고수자들은 니케아 공의회 이후 점차 사라져 갔다. 유월절 성찬식을 부활절에 행하게 되었기에 몇몇 언어에서는 부활절을 파스카(유월절)라고 부른다.[15] 오늘날 해당 언어권의 기독교인들이 유월절과 부활절을 구분하지 못하게 된 이유다.

3. 니케아(Nicaea) 회의

1) 시일과 소집자
325년 5~6월, 콘스탄티누스 황제

3) 소집 동기
① 부활절 일자 문제 (동방은 유월절을 지키고, 서방은 주일을 중시했다)
② 아리우스(Arius) 설 때문에 교회가 분열될까 염려하여

6) 결의
… ③ 부활절은 주일에 지키기로.

— 이종기, 《간추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4, 64-67쪽

같이 보기

각주

  1. "부활절논쟁", 《두산백과 두피디아》
  2. 파스카 논쟁. 《passoveris.com》. 
  3. 누가복음 22:15. 이르시되 내가 고난을 받기 전에 너희와 함께 이 유월절 먹기를 원하고 원하였노라 
  4. 고린도전서 11:23-25. 내가 너희에게 전한 것은 주께 받은 것이니 곧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에 떡을 가지사 축사하시고 떼어 가라사대 이것은 너희를 위하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하시고 식후에 또한 이와 같이 잔을 가지시고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운 새 언약이니 이것을 행하여 마실 때마다 나를 기념하라 하셨으니 
  5. 고린도전서 11:26. 너희가 이 떡을 먹으며 이 잔을 마실 때마다 주의 죽으심을 오실 때까지 전하는 것이니라 
  6. 고린도전서 5:7-8.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 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 
  7. 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155년에 폴리캅[폴리카르포스]은 로마 교황 아니케터스(Anicetus)와 이 문제를 토론하였으나 양편이 다 상대방을 설복시킬 수가 없어서 서로 다르게 그날을 지키기로 합의를 보았다.
  8.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5쪽, 아니케투스가 로마 교회의 감독으로 있을 때, 폴리갑[폴리카르포스]이 로마를 방문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해 의견의 차이가 있었으나 곧 서로 화해했으며, 이 주제로 서로 논쟁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니세투스[아니케투스]는 폴리갑에게 그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권면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폴리갑은 주의 제자 요한, 그리고 그와 교제한 나머지 사도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갑도 아니세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라고 권면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니세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9.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 《가톨릭신문》, 2002. 11. 17., 폴리카르푸스는 생애 말기에 로마로 건너가 주교 아니체투스와 부활절 날짜, 단식 문제와 같은 교회의 여러 현안을 놓고 협의하였다. 아시아 지방의 대표로서 폴리카르푸스는 당시 서방의 관습과 달리, 사도 요한의 전통에 따라 과월절 전날인 니산달 14일에 부활절을 거행하는 「14일파」를 변론하였다. 부활절 날짜 문제는 폴리카르푸스와 아니체투스의 주장이 서로 달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0. 매년 부활절 날짜가 일요일에 오도록 지정하기 위해 알파벳 A-H까지 8개의 문자를 사용해 만든 규칙(주간이 7일 주기로 바뀌었을 때는 A-G까지 7개 문자)으로, 이 규칙을 '도미니칼 레터(Dominical letter)' 또는 '선데이 레터(Sunday letter)'라고도 부른다.
  11. 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이 논쟁의 보다 더 중요한 단계는 197년 로마에서 일어났다. ... 로마 교황 빅터(Victor)는 모든 혼란을 중지시키고 부활절을 일요일에 지키는 도미닉의 규칙(Dominical Rule)을 채용하도록 전 교회에 강요하였다. ... 아시아를 제외하고는 각지에서 도미닉의 규칙을 채용하게 되었다.
  12. 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123쪽, 에베소의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자기 편지에서 성 빌립과 성 요한과 그리고 아시아의 그 밖의 성자들의 한 사람의 권세를 자기가 행사한다고 주장하고 항쟁하기를 자기는 자기 가문에서 감독의 직분을 여덟 번째 가지는 사람이므로 적어도 어느 것이 바른 규칙인지를 안다고 하였다.
  13. 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2-263쪽
  14. 제임스 C. 기본스, 《교부들의 신앙》, 장면 역, 가톨릭출판사, 1998, 139쪽, 성 빅토르 교황(189-199년 재임) 때, 예수 부활 축일을 소아시아 각 지역 교회에서는 유다인의 빠스카, 즉 니산달 14일에 못 박혀 돌아가신 것을 기념하고 나서 같은 달 16일에 지내고, 로마에서는 니산달 14일 다음에 오는 주일에 지냈었다. 지금처럼 부활 축일을, 춘분(3월 21일) 다음에 오는 보름 후 첫 주일에 지내게 된 것은 325년의 니케아 공의회에서 결의된 다음의 일이다.
  15. 파스카 논쟁 오류. 《passoveris.com》. 부활절로 오용되고 있는 프랑스어 Pâques, 스페인어 Pascua, 라틴어 Pascha는 모두 '유월절'을 뜻하는 헬라어 파스카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는 부활절을 중시했던 서방 교회의 입장에 편중된 표현이다.